한가지 제안 – 수자니

안녕하세요.

제가 여러 사이트를 돌아보다가 시카고테니스협회에서 얼마전 Round Robin 여자 테니스대회가 열렸다는 소식을 접했는데 라운드로빈 경기방식은 파트너를 바꾸어가면서 전부가 한번씩 대전을 할수 있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그리고나서 최종성적으로 순위를 가리는 것입니다.
인원이 많을 경우 조를 나누기도 하고요.
 
회원들이 연습경기를 할때도 특정 방식을 도입해서 경기를 하면 어떨까하는게 제 의견입니다.
경기를 매번 기록하게되면 본인의 성적도 알게되고 또 어느 회원과 파트너가 될때 호흡이 잘 맞는지도 알수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나아가서는 지역의 큰대회때 선발하게될 터틀스의 단체전 출전선수 선발에도 참고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단체전이외에도 호흡이 잘 맞는 회원끼리 팀을 만들어 개인전에도 많이 출전하셨으면 합니다.
제 생각에는 실력도 중요하지만 팀웍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더욱더 발전하는 터틀스가 되길 바랍니다.  
늘 지금처럼 건강도 챙기시고 즐겁게 운동하세요…
 
 
아래는 라운드로빈에 대해 이해를 돕고자 다른 사이트에서 퍼온 글입니다.

——————————————————————————————


예선 4팀이 풀리그로 경기를 할 때 게임순서가 다음과 같습니다.
1라운드 1 – 4, 2 – 3,

2라운드 1 – 3, 2 – 4,

3라운드 1 – 2, 3 – 4

위와 같은 경기 순서가 어떻게 나온 것일가요? 그것이 Round Robin입니다.

그러면 예선 팀이 짝수인 6팀과 홀수인 5팀일 경우를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짝수인 6팀일 경우를 보면,

1라운드

1 — 6
2 — 5
3 — 4

2라운드

1 — 5
6 — 4
2 — 3

3라운드

1 — 4
5 — 3
6 — 2

4라운드

1 — 3
4 — 2
5 — 6

5라운드

1 — 2
3 — 6
4 — 5

상기와 같이 모두 15게임이 됩니다…
이 방식을 자세히 보면 시드팀인 1번팀은 항상 같은 자리에 고정시키고, 나머지 다섯팀이 라운드가 거듭할수록 반시계 방향으로 한칸씩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5팀 처럼 홀수인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시드란에 ‘0’이란 가상의 팀을 집어 넣고 5팀을 라운드가 거듭해 갈수록 반시계방향으로 원클릭씩 이동합니다.

1라운드

0 — 5
1 — 4
2 — 3

2라운드

0 — 4
5 — 3
1 — 2

3라운드

0 — 3
4 — 2
5 — 1

4라운드

0 — 2
3 — 1
4 — 5

5라운드

0 — 1
2 — 5
3 — 4

여기서 가상의 팀 ‘0’과 매치된 팀은 게임이 없이 쉬는 겁니다.

그러므로 5팀인 경우의 게임순서는

1라운드 1 – 4, 2 – 3,
2라운드 5 – 3, 1 – 2,
3라운드 4 – 2, 5 – 1,
4라운드 3 – 1, 4 – 5
5라운드 2 – 5, 3 – 4 입니다.

 

이 방식만 머리속에 넣고 있으면 , 예선전을 7팀이 풀리그로 한다 (그럴리야 없겟지만) 손치더라도 암산으로 게임순서를 그려낼수 있을겁니다.동점자의 경우엔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다승-다득점-소실점-연장자